HOME >  의정부문화 >  의정부 소개
의정부문화
역사와 전통, 그리고 현대가 만나는 의정부
의정부 소개 목록
의정부 소개
  • 의정부동

    의정부1동은 조선선조때 교통,통신기관의 하나인 두험천참이라는 파발막이 있던 곳으로 옛날에는 파발막이라고 불리던 곳이다.
    제일시장을 비롯한 큰 시장이 산재해 있고, 유흥업소가 밀집돼 있는 상업 중심지역일 뿐만 아니라 금융기관과 각급 단체가 자리잡고 있는 시의 중심부이다.
  • 호원동

    본래는 호동 누원리 장수원리였던 것을 1914년 4월 1일 전국 행정구역 개편때 호자와 원자를 따서 시둔면 호원리로 개칭 하였다. 1956년에는 당시의 둔야면 호동을 호원1리, 누원리와 장수원리를 호원2리로 분할하였다. 이후 1964년 5월 8일 <의정부시의 명칭과 구역에 관한 조례>를 개정 공포(조례 제 19호)하여 동년 6월 1일 동제가 실시됨에 따라 호원1,2를 합하여 호원동으로 개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범골 : 동봉산 기슭에 있는 마을로서 옛날 이 동네에 범씨가 많이 살았다고하여 범골이라 불렀는데, 한자로 잘못 표기하여 호동(虎洞)이 됐다고 한다. 이 마을 뒷산에 동굴이 하나 있는데 밤이 많았다 하여 동굴 이름을 범굴이라 했고 동네 이름 마저도 범굴 -> 범골로 변음 됐다고 한다. 회룡골 : 회룡사 입구의 마을로서 절 이름을 따서 회룡골이 됐다. 회룡사는 원래 법성사였으나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기전 이곳에 계시던 무학 스님을 찾아와 함께 머물렀는데 임금이 되어 돌아왔다고 하여 그 뒤 이름을 법성사 대신 회룡사로 고쳤다고 한다. 전좌마을 : 회룡골 이부 마을로서 조선조 초기에 두차례의 왕자의 난을 겪은 이성계는 정치에 뜻을 버리고 함흥으로 간 후 돌아오지 않다가 결국 무학스님의 끈질긴 설득으로 한양환궁의 길에 올랐다. 이때 태종은 부왕이 한양으로 돌아온다는 소식을 듣고 이곳까지 친히 나와서 태조를 맞이했다. 그 때 두 임금이 마주 앉았던 곳이라 하여 전좌마을이 됐다. 외미 : 전좌마을 오른편에 있는 마을로서 일제시대 일본인들이 많이 살았는데, 마을 뒷산에 일본인 무덤이 많이 있었다 하며 처음에는 '왜묘(倭墓)'라 부르다가 외미가 됐다는 주장도 있다. 다락원 : 의정부와 서울시의 경계선에 있던 마을로, 조선시대에 함경도 원산에서 강원도 원을 거쳐 포천에서 다락원을 통해 서울로 가는 상품 교역의 길이 번창하였다. 서울로 들어서는 관문인 이곳에 누원점이라는 상점이 생기게 되면서 다락원이라 부르게 되었다. 현재도 다락원에는 자연마을이 많이 있다.
  • 장암동

    장암동은 원래 둔야면 장자리, 오람리,동막리를 1914년 시둔면 장암리로 고쳤다가 1964년 장암동이 됐다. 그 후 신곡동과 병합하여 장곡동(長谷洞)으로 바뀌었다가 1994년 장곡동이 장암동과 신곡동으로 다시 분동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장재울 : 수락산 기슭에 있는 마을로서 조선 숙종 때 서계 박세단 선생이 관직에서 물러나 이곳에서 제자들에게 학문을 가르쳤다. 서계선생은 학자로서 명성이 높았을 뿐 아니라 성품이 강직한 반면 너그러워 그를 존경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성품이 너그럽고 인자하신 분 즉, '관후장자'가 사는 동네라하여 장자(長者)동이 되었는데 지금은 변음되어 장재울이라 부른다. 동막골 : 수락산 아래있는 마을로서 옛날에 이곳에 음식을 파는 주막이 있었으므로 길손들이 동쪽에 있는 주막이라하여 동막(東幕)골이 됐다고 한다. 옛날에 포천 사람들은 주로 이 길로 서울을 왕래했다고 한다.
  • 신곡동

    1914년 4월 1일 전국 행정구역 개편때 둔야면 신촌리, 추동리, 발곡리, 본둔야리를 시둔면 신곡리로 개칭하여 오다가, 1964년 5월 8일 동제(洞制)가 실시됨에 따라 신곡동이 되었다. 신곡동은 장암동과 함께 행정동으로 장곡동에 속해 있었으나 1994년 7월1일 장암동과 분리되었고, 1995년 3월2일 인구증가로 분동되어 추동리, 발곡리, 본둔야리는 신곡1동이 되었고 신촌리와 동오리 일부는 신곡2동이 되었다. 신곡동이라는 이름은 신촌리와 발곡리에서 한자씩 따서 지은것이다. 새말 : 지금으로부터 약 4백50여년경 조선 성종의 열째 아들 경명군의 후손들이 이곳에 와서 마을을 새로 개척해 살기 시작하여 그때부터 새마을, 새말, 신촌(新村)이라 불렀다. 가래울 : 의정부 초등학교 뒷편에 있는 마을로서 수락산 음지쪽에 있다하여 음지말이라고 한다. 옛날 이곳에 가래나무가 많이 자랐기 때문에 가래울 또는 추동이라 불리고도 있다. 능골 : 1468년 9월 세조가 승하하자 능자리가 될만한 명당자리를 잡기 위해 조정에서 보낸 지사가 이곳까지 와서 둘러보고 능 후보지로 내정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후에 장지는 지금의 공릉으로 결정되었고, 이곳은 이름만 남아서 능골, 능곡(陵谷)으로 불리게 됐다.
  • 송산동

    이성계가 조선왕조를 개국한 후 조견은 왕조의 부름을 여러번 받았으나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아니한다'하여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서 살았다. 조견의 호는 송산인데, 조송산 선생이 살았던 곳이라 하여 송산동이 됐다. 어룡 :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부용천 물고기가 용이 된 후에 목이 말라 물을 마시다가 승천하지 못하고 그대로 산이 됐다는데, 물고기가 용이 됐다해서 어룡이란다. 궁말 : 낙양동에서 으뜸 되는 마을로, 최사의(崔士儀)의 딸이자 세종의 후궁인 명의궁(明懿宮)이 친정 조카 민의 집인 이곳에 와서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삼귀 : 이성계가 조선조를 개국하게 되자 조견, 원선, 정구 등 세분은 충절을 지키면서 이곳에서 은거했다. 세분의 어진 사람이 이곳에 함께 돌아왔다 하여 마을이름을 삼귀(三歸)가 됐다. 만가대 : 탑들 남쪽에 있는 마을로, 고구려 때 만 집이 살았다 하며, 혹은 만 집이 살터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만가대는 송산에서부터 퇴계원 사이에서 제일 큰 마을로, 1964년 9월 대홍수 전에는 만호(萬戶)가 살았다고 알려져 있다. 정자말 : 옛날 이 마을 어귀에 큰 느티나무 한 그루가 있었는데 동네 사람들이 여름철이면 이곳 그늘 밑에서 쉬고 노는 정자터로 사용했기 때문에 정자말이 됐다. 거문돌 : 이 마을에 있는 돌은 유난히 까맣다 해서 거문돌, 흑석이라고 불리운다. 독바위 : 마을 어귀에 옹기모양을 한 바위가 있어 독바위 옹암이라 한다. 원머루 : 옛날에 이곳 주민들이 의정부를 왕래하려면 멀리 돌아가야 할 만큼 먼 모퉁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원머루, 원우라 부르게 됐다. 구성말 : 용암산 기슭에 있는 마을로서 이곳에는 조선 인조때 이 괄의 선대조 신도비가 있는데, 신도비의 받침돌이 돌거북이 이므로 '구석동(龜石洞)이 됐다. 지금은 변음되어 구성말이라고 한다. 이와 반면에 구석말, 즉 모퉁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유래됐다는 주장도 있다. 잔돌백이 : 이 마을에는 유난히 잔돌이 많아 잔돌백이가 됐는데, 그 후 한자로 표기할때 '세석(細石)이라 했다.
  • 자금동

    자금동은 자일동과 금오동의 2개 법정동을 관할하고 있는 행정동으로, 자금동이라는 이름은 자일,금오의 머리글자에서 따온 것이다. 북으로는 포천시 소흘읍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동으로는 부용천이 서류하여 중랑천에 합류한다.자일동은 1914년 4월1일 전국 행정구역 개편때 시북면 자일리, 귀락리, 금곡리를 합쳐 시둔면 자일리로 개칭하였다가 1964년 5월 8일 금오동은 1914년 4월 1일 전국행정구역 개편때 시북면 금곡리, 상서오리, 중서오리, 하서오리를 합쳐서 서둔면 금오리로 개칭하였다가 1964년 5월 8일 『의정부의명칭과구역에관한조례』를 개정 공포(조례 제19호)하여 동년 6월 1일 동제가 실시됨에 따라 금오동이 되었다. 귀락마을 : 포천군 소흘면과 경계를 이루며, 우리 시의 최북단 마을이다. 조선시대 평안도 도사를 지냈던 박해가 낙향하여 “내가 이곳에 돌아와 여생을 즐겁게 지낸다.”는 뜻으로 ‘귀락’이라 불리워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으나 ‘귀락이’, ‘귀내기’, ‘구내기’라 불리워지고도 있다. 금오동 : 포천행 국도를 끼고 있는 상금오, 중금오, 하금오를 일컬어 금오동이라 한다. 조선 선조의 일곱째 왕자 인성군이 이곳에 낙향하여 삶의 터전으로 삼았는데 그 후손들이 대를 이어 번창했다고 한다.
  • 가능동

    가능동은 1914년 4월 1일 전국 행정구역 개편때 시북면 가좌리, 어능리, 직동을 합쳐서 가능리(佳陵里)로 개칭하였다가, 1956년 2개리로 분할되어 가능1리와 가능 2리가 되었다. 1964년 5월8일 <의정부시의 명칭과 구역에 관한 조례 >를 개정공포(조례 제19호)하여 동년 6월1일 동제가 실시되면서 가능1동과 가능2동이 되었고, 1970년 7월1일 가능 3동이 분리 신설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가재울 : 옛날 이곳에 가재못이라는 큰 연못이 있었는데, 가재가 많이 살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원래의 이름은 가재울인데, 전국 지명을 한자로 고칠때 '가좌(佳佐)가 되었다. 선돌마을 : 마을 뒷산에 큰 바위가 있어서 선돌 또는 입석이라고 한다. 지금은 가능동 입석마을을 웃선돌, 녹양동 입석마을을 아랫선돌이라 부른다. 곧은골 : 직곡이라고도 하는데, 옛날부터 마을 길이 구불구불하지않고 곧아서 곧은골이 됐다.
    한편 가능3동 사무소 옆에는 흥선대원군의 산장이 있었는데, 마을 이름을 따서 직곡산장이라 했다. 1873년 흥선대원군은 민비일파의 세력에 밀려 이곳 직곡산장에서 한거한 적이 있다. 이러한 연유로 흥선로와 흥선지하도의 이름이 생기게 됐다.
  • 녹양동

    조선시대에 이곳에 ‘녹양벌’이라는 군마 사육 목장이 있어서 녹양리가 되었고 동제가 실시됨에 따라 녹양동이 되었다. 의정부시 최북단에 위치하는 동이고, 북쪽으로 양주시 남방동과 접하고 있다. 버들개 : 마을 어귀에 고개가 하나 있는데, 버드나무가 무성한 고개라 하여 버들개로 부르던 것을 한자로 표기할때 유현(柳峴)이 됐다. 비석거리(비성거리) : 양주군 주내면 남방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의정부시의 최북단 마을이다.
    옛날 양주목사가 순행 다니던 길목으로 역대 목사들의 송덕비가 많이 세워져있다하여 비석거리라 하였는데, 지금은 변음되어 비성거리가 됐다.
    하동촌 : 천보산에서 떨어져 나온 산기슭에 있는 마을로, 중량천 상류의 동쪽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하동촌이 됐다.
(11780) 경기도 의정부시 산단로 123 의정부문화원
Tel 031)872-5678 / Fax : 031-853-0433 /  ujbcc@hanmail.net  
COPYRIGHT ©2016 BY 의정부문화원 All right reserved.
의정부문화원